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육아휴직 중에도 연차가 발생하나요? 발생 방법 알아보기!

by 34askfj 2024. 3. 7.

육아휴직 중에도 연차가 발생하나요? 발생 방법 알아보기!

 

육아휴직을 하는 부모님들에게 반가운 소식입니다! 2018년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인해 이제 육아휴직 기간에도 연차휴가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어떤 조건 하에 얼마나 발생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시죠? 이번 게시물에서는 육아휴직 기간 연차 발생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육아휴직 기간 연차 발생 여부

먼저 핵심적인 질문부터 풀어보겠습니다. 육아휴직을 하는 동안에도 연차휴가가 발생할까요? 대답은 '예' 입니다. 2018년 개정된 근로기준법 제60조 제6항에 따라 육아휴직 기간은 법령상 또는 성질상 출근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연차 발생 대상 기간에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1년간의 소정 근로일이 240일이고, 6개월 동안 육아휴직을 했다면, 육아휴직 기간 120일은 모두 출근한 것으로 간주되어 연차 발생 대상 기간이 됩니다. 따라서 연차 발생 여부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육아휴직 기간 연차 발생 방법

육아휴직 기간에도 연차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았으니, 구체적으로 어떻게 발생하는지 알아볼까요? 연차 발생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소정 근로일수 확인: 먼저 1년간의 총 소정 근로일수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때 법정 휴일이나 공휴일은 제외해야 합니다.
  2. 출근일수 계산: 육아휴직을 제외한 실제 출근일수를 합산합니다.
  3. 연차 발생 일수 계산: 근속 근무 기간에 따라 연차 발생 일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만 1년 미만 6개월 이상 근무한 경우 10일, 1년 이상 2년 미만 근무한 경우 15일, 2년 이상 근무한 경우 20일입니다.
  4. 최종 연차 일수 계산: 위에서 계산한 출근일수를 소정 근로일수로 나눠 100을 곱한 뒤, 3항에서 확인한 연차 발생 일수를 곱합니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연차 발생 일수 = (출근일수 / 소정 근로일수) x 100 x (근속 근무 기간에 따른 연차 발생 일수)

예시:

  • 1년간 총 소정 근로일수: 240일
  • 육아휴직 기간: 4개월 (120일)
  • 실제 출근일수: 120일

이 경우 연차 발생 일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연차 발생 일수 = (120일 / 240일) x 100 x 15일 = 7.5일

따라서 해당 근로자는 7.5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육아휴직 기간 연차 발생은 1년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1년 이하의 육아휴직 기간에는 연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취업 규칙이나 단체 협약에서 별도로 육아휴직 기간 연차 발생에 대한 규정이 있는 경우, 해당 규정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육아휴직 기간에도 연차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셨으신가요? 복직 후 휴가를 사용하여 육아에専念(전념)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니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 물론, 연차 휴가 사용에 대한 사항은 사전에 소속 상사와 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